빛바랜 추억과 그리움이 머무는 간이역
비소식이 있어 날이 많이 흐렸던 날 북한강을 따라 남양주로 향했습니다. 이번 목적지는 경기도 남양주에 있는 능내역입니다.
![]() |
북한강 |
능내역은 1956년에 무배치간이역(역무원이 배치되지 않은 역)으로 운행을 시작했습니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남한강 일대의 모래사장과 인접하여 늘 관광객들이 북적거리던 곳이었는데요, 모래사장은 팔당댐이 건설되면서 사라지고 이후로 승객이 줄어들면서 2008년에는 중앙선 복선화로 폐역이 되었지요.
![]() |
능내역 폐역 |
![]() |
능대역 전경이 예뻐서 스케치도 해봤어요. |
기차가 멈춘 후 능내역의 폐선된 중앙선 철도는 2012년 산책로와 자전거길이 되었고, 능내 1리 주민들이 역사 안에 작은 추억 박물관을 만들어 능내역은 다시 사람들이 찾는 곳이 되었습니다.
![]() |
남양주 관광안내도 |
한옥 기와를 얹고 있는 능내역은 옛날 영화 세트장같은 느낌이 있어서 레트로 감성으로 사진 찍기 좋은 곳입니다. 그래서 영화, 뮤직비디오, 광고, TV 프로그램 등의 배경으로도 자주 활용되고 있어요.
![]() |
능내역 내부 전경 |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대합실 내에 사진을 찍어주는 '고향 사진관'이 있었다고 합니다. 나무 창틀에 걸려있는 사진들은 그때 실제로 찍힌 사진들이라고 하네요. 52년 동안의 추억들이 빛이 바랜 채 역사 안에 고스란히 남아 있었습니다.
![]() |
능내역 나무 우체통 |
남양주에는 정약용 선생의 생가가 있습니다. 능내역과 가까워요. 그래서 능내역은 한 때 정약용 생가를 찾는 관광객들로 붐볐다고 합니다. 정약용 선생은 천주교 신자로 알려져 있지요.
역사 옆 계단을 올라가면 테이블 몇 개와 의자가 있는 작은 휴게공간이 있습니다. 이 곳에서 능내역 전경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주위에 있는 매점에서 간단한 간식거리를 사다가 여기서 먹으면서 쉬다 가면 좋을 것 같아요.
![]() |
역사 위에서 바라본 능내역 전경 |
주차는 능내역으로 가는 길목에 하나 있고, 능내역 근처에도 있긴 해서 주차는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어디에 주차하든 능내역까지 충분히 걸어갈 수 있는 거리더라고요(걸어서 1-2분 거리). 철로 옆은 자전거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