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센터 가지 않고 대형 폐기물 버리는 방법

주민센터 가지 않고 대형 폐기물 배출 신고하는 방법 

대형 폐기물을 잘 몰라서 무단으로 폐기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내가 버리고자 하는 폐기물 크기가 종량제 봉투에 안 들어가면 일단 이 폐기물이 대형폐기물 수거 대상인지를 먼저 확인해야겠죠. 베개처럼 일반인가 대형인가 헷갈리는 것도 알고 보니 신고하고 버려야 하는 대형 폐기물이더라고요. 저도 잘 몰라서 베개나 이불 같은 것도 헌 옷 수거함에 넣은 적이 많은데 말이에요. 

잘 몰라서 그런 거면 변명이라도 할 수 있지만 주민센터에 직접 가서 신고하자니 번거롭고 귀찮아서 그냥 버리는 경우도 많잖아요. 대형 폐기물 신고는 꼭 주민센터에 방문하지 않아도 인터넷으로도 가능하답니다. 각 주소지의 관할구청 홈페이지에서 대형폐기물의 종류를 확인한 후 온라인으로 결제 및 배출 예약을 할 수 있어요. 


대형 생활폐기물 온라인 신청/처리 과정


'신고필증 스티커 발급받아야 하니까 

결국 주민센터 가야 하는 거 아닌가?'

집에서 인터넷으로 대형 생활폐기물 신고를 하고 결제까지 마쳤다면 신청 결과 조회 메뉴에서 신고필증을 인쇄하여 폐기물에 부착한 후 배출하면 됩니다. 꼭 스티커 형태로 발급받아 붙일 필요가 없답니다.

모든 것이 온라인으로 일어나는 세상이니 요즘은 집에 프린터기 없는 경우가 더 많잖아요. 그렇다면 신고필증을 꼭 인쇄할 필요 없이 종이에 신고필증 번호와 품명, 규격, 배출 예정일을 적어 붙여서 배출해도 됩니다. 신고필증 번호는 좌측 상단에 No.로 시작하는 번호를 말해요. 신고 및 결제까지 마쳤다고 해도 신고필증 번호를 써놓지 않으면 수거해가지 않으니 유의하시고요.


혹시 수수료가 아까워서 대형 폐기물을 무단 폐기한 적은 없으신가요? 대형 폐기물 배출 신고를 한다고 무조건 수수료를 내지는 않아요.

재활용이 가능한 경우 관할구 관내 재활용센터에서 무상으로 수거해갑니다. 관할구청 홈페이지에서 재활용센터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어요. 

가전제품이나 학습, 사무기기인 경우에도 무상 수거가 가능합니다. 폐가전 무상배출예약시스템 홈페이지(www.edtd.co.kr) 또는 콜센터(1599-0903)에 전화하여 배출예약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예약 날짜에 가정으로 직접 방문 수거해가요. 대형가전제품이라면 소형 가전 품목과 무관하게 꼭 5개 이상 모으지 않아도 수거가 가능하답니다. 품목의 종류는 폐가전 무상배출예약시스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고요.  

폐가전 무상방문수거

앱으로도 비대면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구글플레이에서 여기로 또는 빼기로 검색하세요. 저는 서비스 지역이 아니어서 아쉽게도 이용해 보지는 못했습니다만 앱으로 신청하면 혼자 버리기 어려운 가전이나 가구도 내려주는 서비스가 있어서 아주 유용할 것 같습니다. 

대형폐기물 배출 앱


저는 미니멀 라이프를 하면서 처음에는 모든 일회용 필기구를 비우고 만년필을 사용하다가 지금은 종이 대신 핸드폰 메모앱과 S펜을 사용하고 있어요. 그래서 집에 종이가 없습니다. ㅎㅎ 어쩔 수 없이 주민센터를 방문해서 배출신고를 했네요. 

관할 주민센터에 따라 다르겠지만 요즘은 주민센터에 가도 신고필증 스티커를 발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주민센터에 가도 스티커가 아닌 신고필증을 한장 인쇄해 주니까 사실 저처럼 독특한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주민센터까지 갈 필요는 없죠. 

대형 생활폐기물 주민센터 신청/처리 과정


대형 폐기물 신고는 따로 작게 코너가 마련되어 있어서 번호표 뽑을 필요도 없었네요. 


대형 폐기물 접수처에서 신고서 작성합니다. 


성명/연락처/배출주소/배출일/배출폼목을 적습니다. 품목의 규격을 적어야 하니 미리 사이즈를 체크해서 가는 것이 좋아요. 


신고한 폐기물 품목과 규격이 다르면 수거를 안 해갑니다. 적은 주소지의 집 앞, 잘 보이는 곳에 배출해야 하고요. 


신고 필증이 나왔네요. 


테이프로 붙여서 집 앞에 배출하면 끝! 



뭐든 처음이 어렵지 한번 해보니 어려울 것이 없더라고요. 너무 간단해서 번거롭다는 생각도 안 들었고요. 집에 종이 있는 분은 방 안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해보세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