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카카오 계정에 연결된 카카오 서비스를 탈퇴해야 한다
카카오 계정도 구글 계정과 마찬가지로 한 사람이 여러 개의 계정을 생성할 수가 있고, 하나의 계정으로 여러 가지 카카오 서비스와 연동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카카오 계정을 삭제하려면 구글과는 달리 먼저 카카오 스토리, 스토리 채널, 카카오톡, 카카오 애드핏 등의 연결되어있는 서비스들을 하나하나 직접 탈퇴를 한 후에야 가능해서 꽤 번거롭다. 카카오 고객센터에 의하면 카카오 계정은 여러가지 카카오 서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통합 계정이기 때문에 그렇다고 한다. 그런데 연결된 서비스 계정을 다 탈퇴한 후에도 카카오 계정 탈퇴 페이지까지도 검색한다고 바로 딱 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내 생각엔 카카오 측에서 회원 이탈을 막기 위해 일부러 시스템을 이렇게 복잡하게 만들어 놓은 것 같다. 한마디로 삽질하기 딱 좋다.
1. 스토리채널 탈퇴하기
카카오 계정으로 사용하고 있는 이메일을 하나로 통합해서 관리하려고 카카오 계정을 삭제하려고 하니 연결된 서비스를 먼저 해지하라는 메시지가 떴다(연결된 서비스는 카카오 계정 관리에서 조회할 수 있다). 그래서 먼저 카카오 스토리를 탈퇴하려고 했는데 스토리 채널에서 먼저 탈퇴하라고 또 메시지가 뜬다.
스토리 채널로 들어가 '계정 정보' > '스토리 채널 탈퇴하기'를 클릭하니, 활동하고 있는 채널이 있어서 이걸 먼저 삭제하라고 또 뜬다. 내 채널은 활동하지 않는 유령 채널인데 왜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싶고 슬슬 빡이 오르기 시작..
스토리 채널 홈에서 '정보' > '스토리 채널 삭제'를 클릭한다.
2. 카카오스토리 탈퇴하기
스토리 채널을 삭제한 후 카카오스토리로 돌아와 메인에서 오른쪽 상단의 톱니바퀴 > '일반 설정'으로 들어간다.
맨 밑의 하단에 '카카오스토리 탈퇴하기'를 클릭한다.
카카오 스토리를 탈퇴할 때 삭제되는 정보를 확인한 후 문제가 없으면 비밀번호를 치고 탈퇴를 완료한다.
3. 카카오애드핏 탈퇴하기
마지막으로 카카오 애드핏을 탈퇴하러 가보자. 카카오 애드핏은 홈에서 아예 회원 탈퇴를 셀프로 할 수가 없게 되어 있었다. 애드핏 홈 > 고객센터에 탈퇴하기를 따로 요청해야 한다. 고객센터를 클릭하니 카카오톡으로 연결되었다. 옛날에는 전화나 문의 보내기 같은 창구도 있었던 것 같은데 지금은 카카오톡 고객센터만 열어놓고 있어서 이리로 문의했다. 참고로 고객센터 운영시간은 오후 6시까지이고 따로 메시지 남긴다고 다음날 우선순위로 연락이 오거나 하지는 않는다.
![]() 6시 넘어 보내면 삽질하신 겁니다. ㅎ |
한 가지 유의할 점은 애드핏 홈에서 계정의 매체 이하 존재하는 광고 단위를 모두 삭제하고 1일이 경과한 후에 고객센터로 문의해야 처리가 된다. 그래도 바로 처리되는 것은 아니라 1-2일 소요되는데, 나처럼 매체도 삭제 안 하고 바로 요청하면 3일 이상 소요될 수 있다. 이때 애드핏에서 쌓은 적립금이 5만 원 이하라면 출금이 안되기 때문에 소멸 처리되고, 탈퇴 완료 후에 따로 통보되지 않는다.
그래서 하염없이 하루에 한 번 들어가 보면서 확인했는데, 어느 날 로그인을 하니 화면이 이렇게 바뀌었다. 그러면 애드핏 탈퇴가 완료된 것이다. 나는 3일 걸렸다.
카카오 계정 탈퇴하기
카카오 계정에 연결된 카카오 서비스를 모두 탈퇴했으니, 이제 카카오 계정 탈퇴를 해보자. 카카오 계정 탈퇴 페이지는 검색한다고 바로 딱 나오지 않는다. 구글이나 네이버 검색 창에서 '카카오 계정 알아보기'로 검색해서 나오는 페이지를 클릭해서 들어가도록 한다.
접속한 후 로그인을 하면 아래 왼쪽과 같은 화면이 뜨는데, 이 화면에서 왼쪽 상단의 '계정관리'에 링크가 걸려 있으니 이걸 다시 한번 더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 오른쪽 그림처럼 화면이 바뀌고, 맨 아래에 '카카오 계정 탈퇴' 링크가 있으니 클릭한다.
카카오계정 탈퇴 전에 확인사항을 읽어 보고 확인 > 비밀번호 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