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북에서 스타벅스 와이파이 연결 안될 때 해결방법

맥 Mac 에서 스타벅스 와이파이 안될 때


1. Mac 재시동 또는 DHCP 임대 갱신

맥북은 잠자기 모드에서 시스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능한 전원을 끄지 않고 잠자기 모드로 두는 것이 좋은데요, '사과 아이콘 > 잠자기' 를 클릭하거나, 노트북 커버를 닫기만 해도 잠자기 모드로 들어갑니다. 단축키는 'Shift + Control + 전원버튼'이고요. 

그런데 작업을 많이 하거나 하면 아이클라우드 동기화가 안되는 등의 오류가 발생할 때가 종종 있어요. 한번씩 재시동이 필요합니다. 스타벅스 와이파이가 안될 때에도 맥을 재시동하면 Wi-Fi 네트워크에 할당된 인터넷 주소가 자동으로 갱신되기 때문에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IP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는 자동(DHCP를 사용하여 주소를 할당받음)과 수동(ISP 또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제공한 IP 주소를 네트워크 설정에 입력함)의 두가지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습니다. '사과 아이콘 > 시스템 설정 > Wi-Fi > 세부사항 > TCP/IP'에서 DHCP 임대 갱신을 클릭하면 꼭 Mac을 재시동하지 않아도 새로운 IP를 할당받을 수 있습니다. 

Mac을 재시동하거나 DHCP 임대갱신으로 새로운 IP를 할당받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macOS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사용하여 macOS를 항상 최신의 상태로 유지합니다. '사과 아이콘 > 시스템 설정 > 일반' 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확인하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날짜와 시간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도 확인합니다. '사과 아이콘 > 시스템 설정 > 일반 > 날짜와 시간'으로 들어가 자동으로 시간 및 날짜 설정을 켭니다.



3. 기타 보안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확인하기

macOS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최신 보안 업데이트 설치의 이유가 큰데요, 만약 위 두가지 방법으로도 안되는 경우에는 보안 소프트웨어를 확인해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네트워크 연결과 상호작용하는 기타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경우에 해당 소프트웨어가 인터넷 접근에 영향을 줄 수 있거든요. 

와이파이 연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앱은 VPN(Virtual Private Network), 앱, 방화벽 앱, 안티 바이러스 앱, 유해 콘텐츠 차단 앱, 콘텐츠 차단기 등입니다. 기기에 이러한 유형의 앱이나 구성 프로파일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하고 삭제하세요. Finder > 응용프로그램에서 검토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Mac을 재시동합니다. 


4. 내장 진단 도구 사용하기

무선진단 도구를 사용하여 나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고 와이파이 네트워크 설정 및 사용에 관한 사례를 읽고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무선진단 후 WiFi의 구성 사례 확인 항목에서 오른쪽 i를 클릭하면 다른 사례들에 대한 목록이 나와요. 

무선진단 도구

Wi-Fi의 구성사례들을 확인하고 따라해 봅니다.


5. 다른 네트워크 테스트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을 시도하여 보고 연결된다면 Mac의 문제가 아닌 인터넷 네트워크의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스타벅스 와이파이에서 자물쇠가 걸린 KT_starbucks_Secure로 로그인해봅니다. 사용자 이름은 'starbucks', 암호도 'starbucks'로 동일합니다. 

iOS는 인증서를 자동으로 신뢰하지 못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보안 프로토콜(SSL/TLS)이 해당 인증서를 신뢰하도록 수동으로 설정해야하는데 네스팟(NESPOT)은 KT에서 운영하는 인증서입니다. '신뢰'를 클릭합니다. 


아이폰에서 NESPOT 인증서 '신뢰'를 클릭합니다.

맥북에서는 NESPOT 인증서 확인 '계속'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동의 체크하고 완료를 클릭합니다. 



6. 그 외의 방법들

보안과 관련된 기능이기 때문에 와이파이와 충돌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어요. '사과 아이콘 > Wi-Fi > 세부사항에서 'IP 주소 추적 제한' 항목을 비활성화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IP 주소 추적 제한을 비활성화시킵니다.

네트워크에서 점 3개 클릭 > 위치 편집 > 자동 항목이 있는데, 이를 삭제한 후 +를 눌러 새 네트워크를 만들어 변경해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2.4 Ghz 대신 5 Ghz를 사용하는 것이 간섭이 적으니 추천하고요, 2.4 Ghz를 사용할 때에는 와이파이와 허브 간 간섭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C타입의 USB를 잠시 빼두거나 블루투스 기능을 꺼두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겠네요. 와이파이를 끄고 30초간 기다렸다가 다시 켜보거나 그래도 안된다면 자동연결 설정되어 있는 와이파이를 지우고 다시 연결해 보는 것도 방법이고요. 

저는 위의 방법들 중 할 수 있는 건 다 해봐도 안될 때가 있고 같은 지점에서도 안되다가 갑자기 되기도 하고 그렇더라고요. 제 생각에는 Mac의 문제라기보다는 스타벅스는 원체 카공족들이 많아 과부하가 걸리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스벅에 사람이 많을수록 와이파이 연결 문제가 잦은 걸 보면요. 네트워크는 KT_starbucks보다는 KT_starbucks_Secure가 자물쇠가 걸려있어 사용하는 사람이 적기 때문에 끊김이 적기는 하더라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