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혈 50회 대한적십자사 헌혈유공장 금장 수여 후기

헌혈 50회 헌혈유공장 금장 후기

헌혈 50회 적십자 헌혈유공장 금장은 버킷 리스트 중 하나였어요. 혈관이 얇고 저혈압과 빈혈기가 있어 더 오래 걸릴 줄 알았는데 유난을 좀 떨었더니 예상보다 일찍 달성하게 되었습니다. 2020년 11월에 헌혈 30회 적십자헌혈유공장 은장을 받았으니까 50회까지 2년 정도 걸린 것 같네요. 

헌혈 30회 적십자헌혈유공장 은장

적십자 헌혈유공장은 적십자 다회 헌혈자에게 수여하는 포상으로, 헌혈 횟수에 따라 은장(30회), 금장(50회), 명예장(100회), 명예대장(200회), 최고 명예대장(300회)으로 구분되어 수여됩니다. 헌혈유공패는 대한적십자사 회장 명의 포상으로 상훈법상의 국가 훈장 및 포장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기분은 좋아요. 보람도 있고요. 저는 제 자신이 보잘것 없이 느껴질 때 헌혈로 좀 더 나은 내가 되는 듯한 행복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계속하게 되는 것 같아요.

대한적십자사에서는 혈소판 성분 채집기를 아미커스(Baxter/Fenwal Amicus; Baxter Healthcare Corp, Deerfield, IL, USA)트리마(Trima Accel®; Haemonetics Corp, Braintee , MA, USA)MCS+(Haemonetics ® MCS ® Plus; Haemonetics Corp, Braintee , MA, USA), 이렇게 세 가지를 쓰는 것 같습니다. 다른 종류도 쓰는지는 보질 못해서 잘 모르겠네요.

각 기기마다 원리는 똑같지만 동작 방식이 좀 다릅니다. 트리마는 주기가 짧아 구연산 반응에 대한 부작용이 적지만 압이 좀 센 것 같아요. 소요시간이 짧은 반면 혈관이 얇으면 잘 터집니다. MCS+는 혈액을 돌려주는 텀이 길어서 항응고제 반응이 심해 너무 힘들어서 다신 안 하고 싶더라고요. 😅 아미커스가 혈관 부담도 적고 항응고제 반응도 적어서 간호사나 헌혈자 모두가 선호하는 기기 같습니다. 특히 혈관이 얇은 여자분들은 성분헌혈을 할 때 아미커스가 몸에 부담이 적으니 헌혈하기 전에 헌혈의 집에 가능한지 꼭 물어보세요.

이 때 기기가 MCS+였던 것 같습니다.

아미커스 혈소판 헌혈

헌혈을 100번 하면 적십자사 홈페이지의 명예의 전당에 이름도 올라갑니다. 아무래도 그 정도 하려면 성분헌혈을 주로 해야 할 것 같은데 임신 경력이 있으면 혈소판 헌혈을 할 수 없습니다. 임신이나 유산 경력이 있는 여성의 경우 다른 헌혈자 군에 비해 '수혈 관련 급성 폐손상(TRALI; Transfusion Related Acute Lung Injury)’를 유발할 수 있는 항체의 보유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여자는 생리로 인해 주기적으로 철분이 소실되어 철결핍이 오기도 쉽고 남자분들에 비해 혈관도 가는 편이라 그런지 명예의 전당에는 다 남자분밖에 없더라고요. 

그동안 코로나도 있었고(저는 걸리지는 않았지만~) 소소한 건강상의 이벤트들이 있었지만(치질 수술하고도 한달 지난 후부터 헌혈했어요. ㅎㅎ) 헌혈은 꾸준히 할 수 있었습니다. 헌혈은 건강한 사람의 특권인지도 모르겠네요. 

헌혈유공장 수여 방식이 바뀌어서 먼저 포장증과 헌혈 배지를 선물로 받았습니다. 은장 유공장에는 라미 만년필을 받았었는데 이제 선물은 따로 없고 헌혈배지 컬렉션이 수여된다고 하네요. 


헌혈유공장 금장 포장증

선물보다 헌혈 배지가 전 마음에 들더라고요. 고급스럽게 디자인된 케이스 안에 50이 새겨진 헌혈배지가 들어있습니다. 


헌혈배지

헌혈유공패는 이름을 새겨서 따로 택배로 보내준다고 합니다. 은장을 받을 때는 이름이 따로 새겨져있지 않아서 내 꺼 같지도 않고 좀 올드한 느낌이었는데요, 디자인도 새로 고급스럽게 바뀌고 이름도 새겨서 주니까 소장가치가 충분히 있는 것 같습니다. 금장 유공패 받게 되면 추가 후기 올려볼게요. 기대되네요. 

왼쪽 은장 유공패, 오른쪽 금장 유공

헌혈 100회 명예장은 파란색, 헌혈 200회 명예대장은 빨간색 배색이 들어갑니다. 

왼쪽 명예대장(200회), 오른쪽 명예장 (100회)

너무 뿌듯하고 기분이 좋네요. 역시 헌혈은 사랑입니다. 😉